
Scope https://www.edwith.org/boostcourse-web/lecture/16708/ [LECTURE] 1) scope란? : edwith 들어가기 전에 Servlet과 JSP를 개발하다보면 변수를 많이 다루게 됩니다. 어떤 변수는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공유하고 싶은 변수가 있을 수도 있고, 어떤 변수는 사용자 별로 ... - 부스트코스 www.edwith.org page scope 하나의 JSP 페이지 내에서만 객체를 공유 (JSP only) 예) JSP 파일 내에 에서 사용한 변수는 page scope JSP: pageContext request scope 요청을 받아서 응답하기까지 유효 forward시 변수 값을 유지할 때 사용 리다이렉트하면 사라짐 Servlet: HttpSer..

https://www.edwith.org/boostcourse-web/lecture/16705/ [LECTURE] 2) forward : edwith 들어가기 전에 WAS의 서블릿이나 JSP가 요청을 받은 후 그 요청을 처리하다가, 추가적인 처리를 같은 웹 어플리케이션안에 포함된 다른 서블릿이나 JSP에게 위임하는 경우가 있습니... - 부스트코스 www.edwith.org Forward 요청의 처리를 다른 서블릿으로 넘겨주는 것. redirect와 달리 처음 요청에서 생성된 request, response 객체를 그대로 이용하며 새로운 request, response 객체사 생성되지 않는다. 웹브라우저의 url도 변하지 않는다. 구현 Servlet1이 요청을 처리한 후 HttpServletRequest..

HTTP 상태 코드 HTTP 상태 코드는 HTTP 요청이 성공적으로 되었는지 알려준다. 5개 그룹으로 구분하며 각각 1~5로 시작한다. 익숙한 일부만 수록함. 정보 응답 성공 응답 200 OK: 성공적으로 요청됨. 리다이렉션 메시지 301 Moved Permanently: 요청한 리소스의 URI가 변경됨. 응답에 새로운 URI 줄 수 있음. 302 Found: 요청한 리소스의 URI가 일시적으로 변경됨. 응답에 새로운 URI 줄 수 있음. 클라이언트 에러 응답 400 Bad Request: 잘못된 문법으로 인해 서버가 요청을 이해할 수 없음. 403 Forbidden: 클라이언트가 콘텐츠에 접근할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음. 404 Not Found: 서버가 요청받은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음. 418 I'm..

https://www.edwith.org/boostcourse-web/lecture/19882/ [LECTURE] 4) JSP 내장객체 : edwith 들어가기 전에 JSP에서는 개발자가 선언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는 미리 선언된 변수가 존재합니다. 이를 내장객체라고 합니다. 개발자가 선언하지 않았음에도 어떻게 JSP에서 내장... - 부스트코스 www.edwith.org JSP 내장 객체 (JSP Implicit Objects) _jspService()에 미리 선언된 객체들, web container에 의해 생성되고 모든 jsp 페이지가 사용 가능하다. JSP 내장 객체 종류 Servlet에 선언된 부분 예제 참고 https://www.javatpoint.com/jsp-implicit-objects..
https://www.edwith.org/boostcourse-web/lecture/16704/ [LECTURE] 3) JSP 문법 : edwith 들어가기 전에 JSP는 HTML태그와 자바코드를 섞어서 개발할 수 있습니다. JSP에서 자바코드는 어떻게 입력을 하는지, 어떤 결과를 출력하려면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 부스트코스 www.edwith.org JSP Servlet HTML 생각해보기 이번 시간에 배웠던 JSP들이 서블릿 소스로 변환될 때 스크립틀릿, 표현식, 선언문이 어떻게 변환될지 예상해 봅시다. JSP -> Servlet (.java) 변환 1. JSP Expression: jspService()에 out.print(expression);으로 변환 2. JSP Scrip..
https://www.edwith.org/boostcourse-web/lecture/16702/ https://www.edwith.org/boostcourse-web/lecture/16703/ JSP: Java Server Pages Java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서버사이드 스크립트 언어 등장배경 서블릿 발표 (1997) 마이크로소프트의 ASP(Active Server Page) 스크립트 엔진 발표 (1998) 서블릿은 ASP에 비해 개발 방식이 불편함(html코드를 직접 out.print로 보내줘야함) ASP에 대항하기 위해 JSP 발표 (1999) 작동원리 JSP는 내부적으로 서블릿으로 변환됨! JSP의 실행순서 브라우저가 웹서버에 JSP 파일을 요청 해당 JSP가 최초로 요청된 경우: JSP가 서블..

https://www.edwith.org/boostcourse-web/lecture/16701/ [LECTURE] 4) Ajax통신의 이해 : edwith 들어가기 전에 브라우저의 새로고침 없이 데이터를 얻어오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더 빠르게 변경된 데이터를 화면의 새로고침 없이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더 좋은 UX(U... - 부스트코스 www.edwith.org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넓은 의미의 Ajax는 웹 클라이언트 측에서 페이지 새로고침 없이 비동기적으로 콘텐츠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 좁은 의미의 Ajax는 서버 측과 비동기적으로 통신하는 기술 XMLHttpRequest를 이용한 표준 방법 (참고: 이름과 달리 http외 프로토..

브라우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마우스 클릭, 키보드 입력, 스크롤, 네트워크 연결, 리소스 로드 등)에 따라 어떤 일을 하라고 등록해 줄 수 있다. 이 때 이용하는 것이 Event Listener 어떻게? addEventListener를 이용 target.addEventListener(type, listener[, options]); type: 이벤트 유형 (참고: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Events) listener: Event 인터페이스 또는 Javascript function을 구현하는 객체(콜백 함수) (이벤트를 설명하는 단일 매개 변수 허용) 예제) html outside javascript var el = document.querySelecto..
https://www.edwith.org/boostcourse-web/lecture/16699/ [LECTURE] 2) DOM과 querySelector : edwith 들어가기 전에 우리가 댓글을 입력할 때 댓글이 바로 화면에 추가되는 걸 볼 수 있죠? 이외에도 받은 이메일함의 개수가 증가하기도 하고요. 이렇게 HTML 내의 구조와 데이터는 변경... - 부스트코스 www.edwith.org DOM: Document Object Model DOM은 HTML 문서를 구조화된 nodes, property, method를 갖고 있는 객체(object)로 표현한다. (웹 페이지의 객체 지향 표현) 객체의 트리 형태이다. 여기서 document는 최상위 객체다.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DOM의 요소(페이지 컨텐츠:..

https://www.edwith.org/boostcourse-web/lecture/16698/ [LECTURE] 1) window 객체(setTimeout) : edwith 들어가기 전에 전역객체(window)에 속한 메서드에는 경고창을 띄워주는 alert 그리고 setTimeout이라는 메서드등이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리고 다른 함수와... - 부스트코스 www.edwith.org 브라우저 내부에서 SetTimeout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하는 영상 https://youtu.be/8aGhZQkoFbQ JavaScript Runtime 자체는 싱글 스레드이나 브라우저는 그것 외에도 다른 것들도 포함하고 있다. 그 예로, SetTimeout은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WebAPI중 하나인데, ..